크릉곰 빌드 소개
원스휴먼
안녕하세요~ 원스휴먼을 잘 즐기고 계시나요?
이번에는 크릉! 곰이다!를 주 무장으로 하는 일명 크릉곰 빌드를 소개 드릴까 합니다.
크릉곰은 MP5 기관단총으로 누구나 쉽게 사용 가능하고, 총알을 명중시키면 이리저리 튀어나가는 총알이 여러 타깃을 적중시키는 모습을 보면서 시원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다수의 적을 상대하는데 유리한 크릉곰! 하지만 보스 하나를 상대하는데도 강력한 모습을 낼 수 있습니다. 감염물과 전술 아이템을 적절히 사용하면 어느 곳에서든 제 역할을 해 낼 수 있습니다.
그럼 어떻게 크릉! 곰이다! 무기를 잘 사용할 수 있을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무기 특성을 살펴보면 명중 시 범위 내 바운스 효과가 발동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총기 대미지 기반의 무기이기 때문에 크리티컬로 DPS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첫째, 총기 튜닝!
총기 기반 무기의 DPS를 상승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크리티컬 대미지와 약점 대미지를 올리는 것이 있습니다. 크릉곰은 기관단총이고 바운스 특성상 약점을 공략하는데 불리하기 때문에 크리티컬 위주로 세팅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크릉곰은 장전 완료 시 바운스 발동 횟수가 늘어나기 때문에 탄창 용량을 줄이는 대신 대미지가 세지는 돌격형 튜닝을 선택했습니다. 그리고 크리티컬을 보강하는 옵션을 사용하겠습니다.
(돌크크 튜닝)
둘째, 부 무장!
주 무장인 크릉곰의 화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부 무장에도 신경을 쓸 필요가 있습니다.
먼저 데저트이글-블루파이어를 부 무장으로 하여 적에게 헌터 마크를 새겨 더 많은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근접무기는 도끼를 장착하고 우클릭으로 땅을 치면 리버스 워페어가 발동하여 범위 내에서 대미지 증가 효과가 있습니다.
셋째, 장비 세팅!
핵심 방어구로 블레이드 하의를 착용하고,
나머지 방어구는 울프 4세트 + 바스티유 1세트로 세팅합니다.
블레이드 하의의 메인 효과로 바운스 발동 횟수를 늘려주기 때문에 DPS 상승에 도움이 됩니다.
울프 4세트로 크리티컬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바스티유 1세트로 총기 대미지를 높일 수 있습니다.
넷째, 모듈 세팅!
주 무기 - 다중 바운스<바운스/격렬>
부 무기 - 인장 증폭<헌터 마크>
근접 무기 - 최종 거점<리버스 워페어>
헬멧 - 럭키 딜러<격렬>
마스크 - 정밀 바운스<바운스/격렬>
상의 - 빠른 귀환<격렬>
하의 - 크리티컬 프렌지<격렬>
장갑 - 크리티컬 강화<격렬>
신발 - 엄호 준비<격렬>
모든 모듈의 접미사를 <격렬>로 세팅하셔도 무방합니다. 나중에 협동 이벤트를 통해 <바운스> 접미사 모듈을 획득하게 되면 주 무기와 마스크 모듈은 <바운스>로 바꾸실 수 있습니다.
<바운스> 모듈의 우선 옵션은 상위자 대미지, 바운스 발동 확률, 바운스 크리티컬 대미지 입니다.
<격렬> 모듈의 우선 옵션은 상위자 대미지와 총기 대미지 입니다.
주 무기와 마스크 모듈은 <격렬>, <바운스> 접미사 사용 가능합니다.
상의는 파란색 모듈 크리티컬 피해 강화 사용하셔도 되는데, 저는 그냥 노란색 모듈로 선택했습니다.
<격렬>접미사는 무난하게 사용 가능하고, <달의 징조>접미사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의, 장갑, 신발은 모두 <격렬>접미사 사용
다섯째, 크레들 세팅!
기관단총과 바운스 관련된 특성과 헌터 마크, 리버스 워페어 효과를 향상시키는 특성으로 세팅하였습니다.
여섯째, 전술 아이템 & 감염물
바운스가 튕겨지는 대상은 적, 감염물, 설치물입니다. 만약 바운스 대상이 없다면 필드에 바운스 됩니다.
바운스 타깃이 많아야 소멸되는 바운스 총알이 줄어들고 리바운드 대미지의 효과가 늘어납니다.
따라서 감염물로 울프를 추천합니다. 늑대는 여러 마리가 소환되서 적에게 달려들기 때문에 바운스 효과를 내기 유리합니다.
또한 전술 아이템으로 텔레포트 터렛을 추천합니다.
터렛은 설치물이기 때문에 바운스 타깃이 되어 추가적인 리바운드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텔레포트 메메틱 효과를 받는 터렛은 총기의 속성을 같이 공유하기 때문에 바운스 총알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 내용들로 여러분들이 원스휴먼을 플레이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다음에 또 다른 정보를 가지고 돌아오겠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